서울시가 대중교통 요금을 8년 만에 인상한다. 시내버스 요금은 300원 오르는 반면 지하철 요금은 서민 물가 부담 등을 고려해 올해 우선 150원만 인상된다. 이후 지하철 요금은 내년 추가 인상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변경된 버스와 지하철 요금은 각각 8월 중순과 10월 초부터 적용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의 대중교통 요금조정안이 시 물가대책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2015년 6월 요금 인상 이후 8년 1개월 만이다.
시는 버스와 지하철의 적자 해소를 위해 지난해 말부터 교통 요금 인상을 추진해왔다. 우선 간·지선 버스와 순환마을버스 기본요금은 카드 기준 현재보다 300원 오른 1500원, 1200원으로 결정됐다. 순환버스와 차등요금이 적용되는 지선버스도 현재 1100원에서 1400원으로 오른다. 광역버스는 2300원에서 3000원으로, 심야버스는 2150원에서 2500원으로 요금이 조정된다.
또한 버스 현금 요금은 카드 요금과 동일하게 맞추거나 동결하여 인상 폭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지하철 기본요금은 서민 물가 부담, 정부 물가 시책 등을 고려해 현행요금(1250원)에서 150원으로 오른 1400원으로 결정됐다. 앞서 코레일은 요금 인상 협의 과정에서 서민 물가 부담 등을 고려해 하반기 150원만 우선 올리는 안을 제안한 바 있다. 다만 시는 내년 하반기에 추가로 150원을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물가대책위는 통과했기 때문에 내년 하반기 150원 추가 인상은 특별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가능하다”면서도 “일단 코레일 등 유관 기관과 협의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인상된 버스 요금이 적용되는 시점은 다음 달 12일 오전 첫차다. 지하철은 관계 기관간 협의를 거쳐 10월 7일 첫차부터 변경 요금이 적용된다.
요금이 인상되더라도 요금 조정 전 충전한 지하철 정기권은 유효기간까지 계속 사용 가능하다. 윤종장 시 도시교통실장은 “지속되는 고물가 속에서 시민들의 손을 빌어 요금을 인상하게 돼 송구스럽지만 시민이 추가로 지불한 비용 이상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염색산업단지 황산가스 누출… 안전문자 발송 안해 (0) | 2023.07.13 |
---|---|
스레드 파죽지세 성장세에 트위터 '사색'···"벌써 가입자 1억명" (0) | 2023.07.12 |
실업급여 '하한액 하향·폐지' 검토…부정수급 특별점검 강화 (0) | 2023.07.12 |
2024 최저임금 인상 논쟁. 과연 최저 시급 1만원의 시대가 올까? (0) | 2023.07.11 |
'그것이 알고 싶다' BJ, 캄보디아 사망사건…"속옷 거꾸로 입어" 성폭행 의심 정황, 교민들 프로포폴 언급 (0) | 2023.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