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 및 각종 생활 정보

윈도우11(WINDOWS11) 불편한 기능 7가지 해결 할 수 있는 방법

by 카이사르000 2023. 5. 5.
반응형

윈도우11(WINDOWS11) 불편한 기능 7가지 해결 할 수 있는 방법

이제 정말 많은 분들이 윈도우11을 사용을 하고 계실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윈도우11 로 업데이트 되면서 정말 많은 기능들이 추가가 되었고 바뀌었습니다. "아~ 이건 왜 이런거야.. " 라고 생각 되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윈도우11의 불편한 기능들에 대해서 해지 하거나 이전 상태로 돌리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TPM 2.0 검사 우회

윈도우11 은 설치 할때 TPM 2.0 모듈이 PC 에 설치가 되어 있는지 검사를 하게 됩니다. 무조건 TPM2.0 모듈이 설치가 되어 있어야지만 윈도우11 을 정상적으로 설치가 가능 합니다. 하지만 TPM2.0 확인 하는 부분을 우회 할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공개가 되어 있어서 쉽게 우회 할수가 있습니다.

 

윈도우11 TPM 기능 없는 PC 에서 설치 하는 방법 윈도우11 이 출시가 된후에 가장 논란이 되었던건 바로 TPM 기능 유뮤에 따라서 윈도우11 설치가 가능 하냐 불가능 하냐로 나뉘었던거 같은데요. 최근에 출시된 대부분의 PC 나 노트북들은 TPM 기능이 포함이 되어 있지만 조금 오래된 PC 의 경우에는 포함이 안된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TPM 기능이란 (Trusted Platform Module, 신뢰 플랫폼 모듈) 이라고 하며 기능은 암호화 키를 저장하고 사용할수 있도록 도와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요즘 같은 세상에서 보안을 강화 해야 하는건 어쩔수 없는 선택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어쨌든 지금까지도 몰랐던 기능이고 잘 사용하고 있었으니 없어도 되긴 하겠죠? 일단 윈도우11 에서 TPM 기능을 우회해서 설치를 하기 위해서는 Github 에서 MediaCreationTool을 다운을 받아야 합니다. 링크를 클릭 하신후에 아래 보이시는 페이지가 열리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Download ZIP 을 눌러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윈도우11 TPM 기능 없는 PC 에서 설치 하는 방법 캡처1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압축 파일이며, 원하시는 위치에 압축을 풀어 주시면 됩니다. 압축을 풀면 몇가지 파일들이 나오는데요. 여기에는 MediaCreationTool.bat 파일과 Skip_TPM_Check_on_Dynamic_Update.cmd 이 있는데요. 2가지 파일 모두 스크립트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현재 윈도우10에서 바로 업데이를 하시는 경우라면 Skip_TPM_Check_on_Dynamic_Update.cmd 를 실행을 한후에 설치를 하면 되는데요. 그냥 MediaCreationTool.bat 파일을 실행을 하셔도 됩니다. MediaCrationTool.bat 파일을 실행을 하면 윈도우11 을 설치 할수 있는 ISO 혹은 USB 를 만들수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당연히 Skip_TPM_Check_on_Dynamic_Update.cmd 가 포함이 될거고 TPM 기능이 없는 PC 에서 설치 할때 실행이 되면서 SKip 해서 설치를 할수 있습니다.

 

실행을 해보시면 아래처럼 몇가지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수 있는데 윈도우10 버전도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11 을 선택을 해주시면 됩니다.

Crate ISO, 혹은 Create USB 를 이용해서 ISO 파일이나 USB 를 만들어서 설치를 하시면 됩니다. 간단하죠? 저는 윈도우11이 설치 되어 있고 TPM 기능을 포함을 하고 있어서 직접 SKip 기능이 동작을 하는지는 해보지 못했지만 해외 사이트들을 참고 해서 보면 잘 동작 하는거 같습니다.

TPM Check 기능을 넘기기는 하지만 TPM 기능이 없는 PC 에서 윈도우11을 이용하면 문제가 될수도 있다는 안내가 나온다고 하네요. 이런건 그냥 넘기면 되니 크게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2. 가운데 정렬된 시작 메뉴

어떤 분들은 윈도우11의 바뀐 시작 메뉴를 좋아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어떤 분들은 시작 메뉴가 가운데 정렬 되어 있는걸 싫어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다행히 시작 메뉴가 가운데 정렬 되어 있는건 설정에서 간단하게 이전 처럼 돌려 놓을수가 있습니다.

 

윈도우11 의 설정에서 "개인설정" > "작업표시줄" > 작업표시줄 동작으로 가시면 왼쪽 혹은 가운데 정렬을 설정을 할수가 있습니다. 왼쪽 정렬을 하시면 기존 윈도우10 에서 처럼 시작 메뉴가 왼쪽에 정렬이 되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3. 윈도우 우클릭 메뉴

Context Menu 라고 윈도우에서 바탕화면이나, 파일 선택후 우클릭을 할때 나오는 메뉴인데요. 이 메뉴 디자인도 윈도우11 로 변경이 되면서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바뀌었습니다. 왼쪽이 윈도우11 의 컨텍스트 메뉴이고 오른쪽이 이전 윈도우 스타일의 컨텍스트 우클릭 메뉴 입니다. 새로 바뀐 디자인을 좋아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메뉴 구성이 적응이 안되어서 싫어 하시는 분들도 있죠. "더 많은 옵션 표시" 를 클릭을 하시면 이전 메뉴와 같은 디자인으로 볼수가 있지만 매번 눌러서 보기에는 다소 귀찮은 점이 있죠. 특히, 파일 탐색기에서는 기존 스타일의 메뉴가 더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수 있어서 좋습니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엽니다.

2) 시작 메뉴에서 "regedit"를 검색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아래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Classes\CLSID\{86ca1aa0-34aa-4e8b-a509-50c905bae2a2}\InProcServer32

3) "Default" 값을 우클릭하고 "수정"을 선택합니다.

4) "값 데이터"란에 다음 값을 입력합니다.

%SystemRoot%\System32\Windows.Storage.ApplicationData.dll

5) "확인"을 클릭합니다.

6)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이제 윈도우 11의 우클릭 메뉴가 윈도우 10과 비슷하게 변경되었을 것입니다. 만약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변경한 값을 삭제하거나 이전 값으로 복원하여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레지스트리를 변경하기 전에 백업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4. 다크모드 자동으로 바뀌게 설정하기

이제 다크모드는 스마트폰이나, PC 등에 반듯이 추가가 되어야 하는 기능이 되어 버린거 같습니다. 윈도우11에서도 다크모드를 지원을 하지만 아쉽게도 자동으로 낮에는 일반모드로 사용을 하다가 야간에는 다크모드로 사용할수 있는 스케쥴링 방법이 지원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Microsoft Store 에서 Auto Darkmode 로 검색을 하셔서 앱을 설치 하시면간단하게 해결을 할수가 있습니다.

보시는것처럼, 일몰부터 일출까지로 설정을 해놓으면 자동으로 사용자 위치의 일볼시간과 일출 시간을 기준으로 다크모드가 반영이 됩니다.

 

5. 파일탐색기 리본 메뉴

파일탐색기도 윈도우11로 업데이트 이후에 정말 많은 것들이 변경이 되었습니다. 그중에서 눈에 띄는것중에 하나가 바로 리본 메뉴가 없어 졌다는 건데요. 리본 메뉴를 이전 윈도우 버전처럼 똑같이 복구를 해놓을수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이용해서 수정을 하셔야 합니다. 일단 아래의 경로로 이동을 합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Shell Extensions

 

이동후에 새로운 키를 생성을 하신후에 "Blocked" 라고 만들어 줍니다. 생성된 Blocked 키 아래에 새로운 마자열로 " {e2bf9676-5f8f-435c-97eb-11607a5bedf7} " 를 추가 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추가를 하신후에는 컴퓨터를 재시작 하셔야지만 적용이 됩니다.

 

6. 윈도우11 작업표시줄 위치 크기 조정하기

윈도우11은 기본적으로 작업 표시줄이 하단에 고정이 되도록되어 있습니다. 기본 설정 메뉴에서는 작업 표시줄을 이동을 시킬수가 없지만 레지스트리 편집을 통해서 이동을 시킬수도 크기를 조정 할수도 있습니다.

1) 작업 표시줄의 위치 변경 작업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2) 나타나는 메뉴에서 "작업 표시줄 설정"을 선택합니다.

3) "작업 표시줄 위치" 옵션에서 원하는 위치를 선택합니다.

4) 작업 표시줄을 클릭하여 설정을 적용합니다.

5) 작업 표시줄의 크기 조정 작업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6) 나타나는 메뉴에서 "작업 표시줄 설정"을 선택합니다. "작업 표시줄" 항목에서 "작업 표시줄 잠금 해제"를 선택합니다.

7) 작업 표시줄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드래그하여 크기를 조정합니다.

8) 원하는 크기에 도달하면, 작업 표시줄을 다시 잠금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 표시줄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을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어느 위치에 두고도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크기로 조절하여 작업 표시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7. 윈도우11 작업표시줄 상단으로 설정하기

1) 작업 표시줄 위치 변경 작업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2) 나타나는 메뉴에서 "작업 표시줄 설정"을 선택합니다.

3) "작업 표시줄 위치" 옵션에서 "상단"을 선택합니다.

3) 작업 표시줄을 클릭하여 설정을 적용합니다.

4) 작업 표시줄 크기 조정 작업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5) 나타나는 메뉴에서 "작업 표시줄 설정"을 선택합니다.

6) "작업 표시줄" 항목에서 "작업 표시줄 잠금 해제"를 선택합니다.

7) 작업 표시줄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드래그하여 크기를 조정합니다.

8) 원하는 크기에 도달하면, 작업 표시줄을 다시 잠금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 표시줄을 상단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을 상단으로 설정하면, 가로 방향으로 길쭉한 화면을 사용할 때 작업 표시줄이 가려지지 않아 유용합니다. 또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주소창이 상단에 위치하므로, 주소창을 더 많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